지방 부동산 침체로 '악성 미분양'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급증하는 가운데 정부가 올해 상황이 더욱 악화되면
구원투수로 나서기로 했다.
한국토지주택공사(LH)가 준공 후 미분양을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.
또 침체된 지역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올해는 사회기반시설(SOC)예산의 70%인 12조원을 상반기에 집행한다.
국토교통부는 13일 2025년 업무계획을 이같이 세웠다고 발표했다.
먼저 침체된 지방 건설경기를 회복하기 위해 지방 미분양 주택을 사들이는 CR리츠 혜택을 강화한다.
주택도시보증공사(HUG)의 모기지 보증 한도를 감정가 60%에서 70%로 확대하는 방안이다.
현재 HUG는 사업자가 준공 후 미분양을 임대주택으로 활용할 때 모기지 보증을 발급해주고 있다.
국토부는 올 들어 기존 1주택자가 지방 준공후 미분양 주택을 사면 양도세와 종합부동산세 산정 시 1가구 1주택 특례를 그대로 적용해 주고 있다.
이 같은 지원에도 지방 준공 후 미분양이 줄어들 기미가 없다면 LH가 악성 미분양을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.
수도권에서는 올해에도 재개발·재건축 등 정비사업 활성화 기조가 이어진다.
노후 불량 건축물 범위에 무허가 건물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재개발 노후도 요건을 완화한다.
지금까지 노후도를 따질 때 무허가 건물은 주택으로 고려하지 않았다.
리모델링 사업 절차를 간소화해 사업 속도를 높인다.
현행 주택법상 리모델링은 조합이 자체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없다.
조합이 주택건설사업자 등록을 하거나 다른 주택건설사업자와 공동으로 사업을 시행해야만 했다.
앞으로는 재건축처럼 조합 차원에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정비할 방침이다.
또 리모델링 사업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가구 수가 늘어나면 건축심의는 물론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두번 받아야 하는 상황을 통합심의를 통해 개선한다.
리모델링에 적극적인 서울 용산구 이촌동 중·고층 단지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.
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는 연내 특별정비계획 수립을 완료한다.
전국 교통망도 강화한다.
전국 주요 거점을 빠르게 연결할 수 있는 '4 X 4 고속철도망' 구축을 가속화하는 게 핵심이다.
올 하반기에는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국내 최초로 완전 무인 자율주행 시범운행을 개시한다,
'경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럼프 압박에도 미연준 금리동결 (0) | 2025.01.31 |
---|---|
가상자산의 새 아침 (0) | 2025.01.24 |
20205년1월 13일 월요일 경제 헤드라인 뉴스 (0) | 2025.01.13 |
지방서 준공후 미분양 사면 (0) | 2025.01.10 |
전국 평균 분양가 (0) | 2025.01.09 |